철근 정착길이 쉽게 구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예제 풀이도 함께 있는데요, 철근 정착길이 공식과 함께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철근 정착이란 철근이 외부 하중을 콘크리트 내에서 저항할 수 있도록 돕는 묻힘 길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근데 이 정착길이는 매번 같은 방식으로 구할까요? 당연히 아닙니다. 철근이 저항하는 방식에 따라, 부재 위치에 따라, 철근 종류에 따라 다 다릅니다. 아래 정착철근 공식 정리 및 예제를 함께 참고하시면 이해가 쉬울꺼라 생각됩니다. 참고바랍니다.
< 목차 >
- 철근 정착길이란
- 철근 정착길이 공식 정리
- 철근 정착길이 예제 풀이
철근 정착길이란
철근 콘크리트에 묻힌 철근은 각 부재에서 작용하는 압축력 또는 인장력에 안정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묻힌 길이를 철근 정착길이라고 합니다. 이 정착길이는 산정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하는 것은 철근이 압축을 받는지, 인장을 받는지를 구별하는 것입니다. 철근이 받는 힘의 종류에 따라 정착길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정착길이를 산정하는 공식 정리는 지난 글에 정리하였습니다. 공식 정리가 필요하다면, 아래 버튼으로 확인 부탁드립니다.
이어서 압축을 받는 부재의 철근 정착길이를 산정하는 예제를 풀어보겠습니다.
압축 철근 정착길이
철근 중에서도 압축을 받는 부재, 즉 압축 철근의 정착길이를 구해보겠습니다. 아래 풀이를 보다가, 인장 철근 정착길이 공식이 궁금하시다면 위의 버튼을 눌러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압축 철근 중 가장 많이 접하는 철근은 기초의 pedestal 내의 주철근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 pedestal의 주철근과 기초 안에 배치하는 다월 철근의 길이는 압축 철근 정착길이로 산정할 수 있습니다. 이때 다월 철근은 pedestal의 주철근과 얼마 길이만큼 겹쳐야 할까요? 또 기초 안으로 얼마나 들어가야할까요? 그 길이는 압축 철근 정착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래 기초에 들어가는 다월 철근에 대한 정착길이를 구하는 문제를 풀어봤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압축을 받는 철근 정착길이를 구해봤습니다. 기본정착길이 산정, 보정계수 적용, 정착 최소길이만 주의한다면 쉽게 산정할 수 있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