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 civil 미국기사, 기술사보 자격증 시험 문제 4가지 유형으로 풀어보겠습니다. 과목은 civil, 토목이며 geotechnical, 토질역학입니다. 토질역학 문제는 공식으로 거의 모든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fe 수준에서는 문제가 어렵게 출제되지 않습니다. 기본 개념을 똑바로 익히는 것이 중요하며, 기출 또는 유사 문제를 많이 보는게 중요합니다. 토질역학 문제로 4가지 유형을 가져왔습니다. 주로 토사 내 응력을 구하는 문제로 갖고 왔으니 참고하시고 도움되시기 바랍니다.
fe civil exam geo 토질 내부마찰각
내부마찰각(φ, angle of internal friction)을 구하는 문제이다. 공식은 reference에 주어진다. 각 공식은 civil engineering part에 나와있다.
■ 토사 전단강도 공식
- τF = c+σN tanφ
fe civil exam geo 유효응력
일정 깊이에 아래에 있는 토사가 받는 응력을 구하는 문제이다. 유효응력을 묻는 문제로, 지하수위에 의한 응력을 제외한 응력을 산정해야한다. 해당 공식은 reference의 civil engineering에 있다.
■ 유효응력 산정공식
- σ’ = σ – u
- u = huγw
fe civil geo 수평력
쌓인 토사에 의한 옹벽에 작용하는 수평력을 산정하는 문제이다. 토사에 의한 수평력은 active force와 passive force 로 구분되는데, 해당 문제는 passive force를 산정하는 문제이다. Rankine passive earth pressure coefficient 공식을 활용하여 구할 수 있다. 해당 공식은 reference civil engineering에 나와있다.
■ 랭킨의 주동/수동토압계수 공식은 아래에 정리하였다.
- KA (Rankine active earth pressure coefficient) = tan2 (45° – φ/2)
- KP (Rankine passive earth pressure coefficient) = tan2 (45° + φ/2)
fe civil geo 지반지지력
직접기초의 지반지지력을 묻는 문제이다. Ultimate Bearing Capacity 극한지지력을 구하는 문제로 공식은 qULT =cNc +γ’DfNq + 12 γ’BNγ 이다. 공식은 reference에 주어지며, 각 계수값은 문제에서 주어지는게 보통이다. 또 시험에서는 땅 속의 기초 깊이를 주지 않고 surface 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 극한지지력 산정시, 각 계수값들에 대한 정의
- Nc = bearing capacity factor for cohesion
- Nq = bearing capacity factor for depth
- Nγ = bearing capacity factor for unit weight
- Df = depth of footing below ground surface
- B = width of strip footing
👇fe civil structural example 5 problems
이상으로 미국 토목기사 exam 문제를 풀어봤습니다. 다음에도 다른 유형으로 문제를 가져와보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