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질및기초기술사 출제기준 시험범위

토질및기초기술사 출제기준 및 시험범위를 알려드립니다. 기술사 출제기준은 매년 확인하셔야 합니다. 시험 범위가 변경됐는데, 이전 범위로 공부하면 소용이 없기 때문인데요. 특히 지난 교재, 과거 자료들로 공부하면 그렇게 될 수도 있습니다. 토질및기초기술사 최신 시험 범위, 출제 기준 자료를 정리하였으니 꼭 확인하고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토질및기초기술사 출제기준

토질및기초기술사 시험은 필기, 실기 시험으로 구분되는데요. 필기는 전체 400분이며 한 교시당 100분입니다. 오전 8시까지 입실하여 오후 6시경에 끝나게 됩니다. 시험 범위는 필기와 면접은 거의 똑같은데요, 면접에서는 한 과목이 더 있습니다. 면접 시험에 아주 중요한 항목이니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토질및기초기술사 필기시험범위

👇2024년 기술사 시험일정

1. 지반의 공학적 특성 분석

  • 원위치시험을 통한 지반특성 분석
  • 실험실 시험을 통한 지반특성 분석
  • 설계정수의 결정 (지반 강도 및 변위)
  • 지반 내 응력의 평가 및 활용

2. 지반 공학의 기본 이론

  • 지반의 물리적 특성의 이해와 응용
  • 지반과 지하수의 관계 (투수, 세굴, 간극수압 영향 등) 이해와 활용
  • 지반강도특성의 이해와 활용
  • 지반변위(압축 및 팽창) 특성의 이해와 활용
  • 지반 다짐과 다짐지반의 공학적 거동 특성

3. 각종 구조물 기초

  • 확대기초, 깊은기초
  • 복합기초(ex. 확대기초 + 깊은기초)
  • 기초 지지력 평가 (지내력 평가, 말뚝지지력 평가)

4. 지반 구조물 및 지반보강

  • 비탈면 안정성 평가법의 이해와 활용
  • 비탈면 안정화 공법 (앵커 등 지반보강공법, 표면 안정화 공법)
  • 댐 및 제방의 제체와 기초의 안정성
  • 연약지반 개량 및 지반보강

👇토질및기초기술사 기출문제(최신 23년 자료) 최신 기출문제와 시험범위를 같이 보면, 시험에 대한 감을 잡는데 도움이 됩니다.

5. 지하구조물

  • 지하구조물(터널, 개착 등) 계획과 안정성 평가
  • 각종 보조공법의 이해와 활용
  • 지하구조물 인접부의 기존 구조물 안정성 평가와 시공계획
  • 지반환경영향 (오염, 지하수 변화, 진동, 침하 등)과 대책공법

6. 토류구조물

  • 토압 평가와 대응
  • 토류시설물의 계획과 안정성 평가 (옹벽, 흙막이 가시설 등)
  • 정보화 시공 (계측계획과 결과의 분석 및 활용)
  • 토목섬유의 활용과 안정성 평가

7. 기타 토질 및 기초 관련 지식

  • 지반 동적 특성 및 거동에 관한 사항
  • 포트홀, 지반 함몰 발생 원인 및 대책에 관한 사항

토질및기초기술사 면접시험범위

기술사 면접 시험 범위는 필기 시험 범위와 동일합니다. 딱 한가지만 제외하면 그렇습니다. 면접 항목에 늘어나는 항목은 품위 및 자질인데요, 이는 기술사가 갖추어야할 주된 자질로서 기술사 사명감, 인성 및 자기개발과제로 주어집니다. 면접 때 요령 사항만 숙지한다면 어렵지 않게 통과할 수 있습니다. 면접 시 요령은 아래에 간략히 정리해봤습니다.

면접 시 자격증만 취득하면 된다는 식의 인상은 좋지 않습니다. 전문 기술사로서 역할, 사명감을 갖고 임하면 좋습니다.

전문 기술사로서 겸손한 자세 역시 중요한데요, 면접 질문에 대한 답변이 면접 위원과 다를 수 있습니다. 이때는 면접 위원의 의견은 잘 듣고 알아보겠다는 식으로 받아들이는게 좋습니다.

기술사 합격 후, 자기개발 방향을 잡아놓는게 좋습니다. 합격하면 뭘 할 것인지 물을 수도 있기 때문이고 이는 자기개발과제 항목과 연결되기 때문입니다.


이상으로 토질및기초기술사 출제 기준 및 시험 범위를 알아봤습니다. 혹시 토목시공기술사와 토질및기초기술사 모두 관심이 있다면 시험범위에 겹치는 부분을 확인해주세요. 지반 공학, 기초 공사, 지하 구조물 등 겹치는 시험 범위가 제법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