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균열폭 구하기(예제 풀이)

콘크리트 균열폭 구하는 방법, 예제를 가져왔습니다. 지난 글에는 콘크리트 허용균열폭, 균열폭 산정 공식을 정리했었는데요, 콘크리트 균열 관련 규정 및 공식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로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번에는 콘크리트 설계 균열폭을 직접 산정해보겠습니다. 예제를 풀기 전에, 허용균열폭, 균열폭 산정 공식 용어 정리, 균열폭 공식을 먼저 알려드리고 예제 풀이에 이어가겠습니다.

< 목차 >

  1. 콘크리트 허용균열폭
  2. 콘크리트 균열폭 공식 용어
  3. 콘크리트 균열폭 공식
  4. 콘크리트 균열폭 예제 풀이

콘크리트 허용균열폭

콘크리트 허용균열폭은 0.3mm 이라구요? 아닙니다. 허용균열폭은 구조물 노출 환경에 따라 달라져야 합니다. 이때 노출환경으로는 건조, 습윤, 부식성, 고부식성 환경으로 크게 구분됩니다. 구조물 노출환경만 고려하면 될까요? 콘크리트 구조물 목적성에 따라도 달라져야겠죠? 콘크리트 안에 있는 철근 종류에 따라서도 다르지 않을까요? 허용균열폭은 아래 글에 상세히 알아봤으니,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콘크리트 균열폭 공식 용어

균열폭 공식에서 나오는 용어를 먼저 공부해봅시다. 공식이 다소 복잡하기 때문에, 나오는 용어를 먼저 머리 속에 정리하는 것이 풀이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설계 균열폭

지속하중으로 휨모멘트, 인장하중이 발생할 경우 부재에 예측할 수 있는 균열폭입니다. 설계 이론상 산정할 수 있는 균열폭이라는 뜻입니다.

평균 균열폭

균열폭을 산정할 때 균열폭 변동성을 모두 고려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때 통계결과에 기반한 평균값을 공식화한 값이 평균 균열폭입니다. 단, 균열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최대 균열폭도 산정할 수 있습니다.

균열폭 평가계수

위에서 언급한 평균 균열폭에 균열폭 평가계수를 조정하여 최대 균열폭을 산정할 수 있습니다. 이 평가계수는 1.0에서 1.7까지 있으며, 최대 균열폭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1.7 의 평가계수를 활용합니다.

평균 변형률

평균 변형률은 균열이 발생한 부재 내의 철근 변형률과 콘크리트 변형률의 차이를 말합니다. 이 변형률의 차이를 구하는 이유는 같은 부재 안에서 철근과 콘크리트 변형의 차이가 균열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콘크리트 균열폭 공식 정리

콘크리트 균열 공식 용어 정리에 이어서, 공식 정리입니다. 공식은 지난번 글에서 정리했기 때문에 아래 버튼으로 찾아봐주시기 바랍니다. 공식은 처음보면 어렵지만, 위의 용어 정리를 먼저 이해한다면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



콘크리트 균열폭 예제 풀이

콘크리트 보 균열폭 예제입니다. 이 예제는 단순보로 지속하중으로 휨모멘트를 받는 부재의 콘크리트 균열폭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문제 풀이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문제를 풀때는 전체 풀이도를 이해하고 어디쯤 풀이되고 있는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 내용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단면 성질 구하기
    • 단면 2차 모멘트
    • 균열 환산 2차 모멘트
  2. 균열 발생 확인하기
    • 균열 모멘트 산정
    • 균열 모멘트, 발생 모멘트 비교
    • 균열 발생 시, 최외단 철근 응력 산정
  3. 설계 균열폭 구하기
    • 평균 균열 간격 산정
    • 평균 변형률 산정
    • 설계 균열폭 산정

이상으로 철근 콘크리트 부재의 설계 균열폭을 구하는 예제를 풀어봤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궁금한 내용이 있으면 언제든 문의주십시오. 감사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