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강도 시험, 승인 기준 3가지

레미콘 트럭이 공사현장에 오면 콘크리트 강도 시험을 해야 합니다. 항상 해야할까요? 언제, 어떻게, 무슨 기준으로 해야 할까요? 콘크리트 사용 승인을 위한 시험 순서는 대략 이렇습니다. 먼저 해야할 것은 현장에서 레미콘 차량으로 받은 콘크리트를 공시체로 제작해야 하죠. 이 공시체의 압축강도 시험을 통해 콘크리트 품질시험을 합니다. 이 시험 결과에 따라 사용 승인 여부가 결정되는 것입니다. 이 콘크리트 사용 승인 여부를 결정하려면 어떤 기준으로 해야할까요? 콘크리트 강도 사용 승인 기준과 예제로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제 풀이 강추)

< 목차 >

  • 콘크리트 시험 기준
  • 콘크리트 사용 승인 기준
  • 공시체 제작 기준
  • 레미콘 시험 빈도
  • 콘크리트 시험결과 예제 풀이
  • 콘크리트 시험 실패? 조치 방법 7가지

콘크리트 강도 시험 기준

현장에서 타설하여 공시체로 제작한 콘크리트로 강도 시험을 실시하게 되는데요. 시험 조건 및 시험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한 종류의 콘크리트에 대해 3번 이상의 시험을 실시해야 한다.
  • 단, 콘크리트 주문량이 50m3일 경우, 공장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공시체 제작이 가능하다.
  • 콘크리트 시험일은 공시체 양생 28일째 또는 설계기준강도 결정을 위해 지정된 날에 실시하여야 한다.

👇콘크리트 조인트 설치 기준? 간격 몇m 마다?

콘크리트 사용 승인 기준

아래 두가지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여야 합니다. 전체적으로 압축강도 시험 결과값이 설계기준강도 이상으로 나오면 만족하겠지만, 설계기준강도보다 3.5MPa 이하로 값이 나온다면 사용 승인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특히 규모가 작은 현장에서는 콘크리트 사용 승인을 위한 품질관리에 유의해야 합니다.

  • 3 번 연속 압축강도 시험 결과의 평균값이 설계기준강도 이상일때
  • 개별적 압축강도 시험값이 fck가 3.5 MPa(fck가 35MPa이하인 경우), 0.9fck (fck가 35MPa 초과인 경우)

공시체 제작 기준

콘크리트 공시체를 제작할 때 압축강도용 공시체 크기는 150x300mm를 기준으로 합니다. 단, 100x200mm의 공시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만, 강도보정계수 0.97를 적용해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공시체 강도보정계수

  • 100x200mm 공시체의 경우, 0.97 강도보정계수
  • 150mm 입방체 공시체의 경우, 0.80 강도보정계수
  • 200mm 입방체 공시체의 경우, 083 강도보정계수

👇비오는날, 눈오는날 콘크리트 타설 괜찮을까?

레미콘 시험 빈도

레미콘 사용 승인을 위한 시험 빈도입니다. 빈도는 주로 콘크리트 타설 규모 및 타설 부재에 따라 달라집니다. 또한 중간에 배합이 변경되거나 레미콘 제공업체가 달라지면 시행해야 합니다. 상세한 시험 빈도는 아래 목록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레미콘 시험 횟수

  • 하루에 1회 이상
  • 120m3당 1회 이상
  • 슬래브, 벽체 표면적 500m2 마다 1회 이상
    • (단, 슬래브, 벽체 두께가 250mm보다 작은 경우, 100m3마다 1회 실시해야 한다)
  • 레미콘 배합이 변경될 때마다 1회 이상

👇철근 최소 피복두께 총 정리(+허용오차, 특수환경노출)

콘크리트 시험 기준 예제풀이

콘크리트 사용 승인 기준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 예제를 가져와봤습니다. 아래는 재령 28일 압축강도 시험결과입니다. 각 실험 결과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승인 여부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콘크리트 사용 승인 문제

아래 표는 설계기준강도 fck 27 MPa인 콘크리트이며, 공시체로 압축시험한 결과이다. case 3개로 나눠지며 각 case는 4번의 압축강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콘크리트 사용 승인 결과를 판단하시오. 먼저 풀어보시고, 표 아래 답안을 참고하시오.

실험 번호No.1No.2No.3No.4
case 128293025
case 227272726
case 334302723



사용승인을 받은 실험 번호는 무엇일까요? 먼저 사용 승인 거절된 case를 분석해보겠습니다.

case 2는 연속 3회 실험 평균압축강도가 설계기준강도에 미치지 못합니다. 다시 말해, (27+27+26)/3=26.7 으로 27MPa보다 작습니다. 그래서 탈락입니다.

case 3은 개별적 압축강도 시험값이 설계기준강도 -3.5MPa보다 작기 때문에 실패입니다. 다시 말해, 24MPa은 (27-3.5)MPa보다 작죠. 그래서 탈락이죠.

case 1은 3회 시험 평균값이 설계기준강도 이상이며, 개별 압축강도 값도 만족합니다. 그래서 case 1만 사용승인에 적합하게 됩니다.

콘크리트 시험 실패 시, 조치방법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실패했다면, 그걸로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콘크리트 타설 전/후로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조치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 추가 조사 방법과 조치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콘크리트 타설 전, 조치방법

  1. 결합재량 증가, 단위수량 감소 등 콘크리트 배합비를 조절한다
  2. 혼화제인 감수제 사용으로 성능 개선
  3. 레미콘 운송 시간 감소
  4. 콘크리트 공기량 조절
  5. 공시체 강도시험 개선

👇콘크리트 지압강도 설계 방법은?

콘크리트 타설 후, 조치방법

  1. 강도 시험 결과가 기준에 만족하지 못한 경우, 문제되는 부재에 추가 코어를 채취하여 추가 실험을 진행해야 한다. 추가 코어는 최소 3개로 진행하여야 하며, 채취한 코어의 압축강도실험값은 위의 압축강도 승인 조건과 동일하다
  2. 채취한 코어의 압축강도 결과값이 불만족한 경우에는 구조물의 하중지지 내력이 부족하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이상으로 콘크리트 레미콘 압축 강도 시험 결과, 사용 승인 기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콘크리트 강도 시험, 승인 기준 3가지”의 2개의 생각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