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장 철근 정착길이 구하는법 (+예제)

인장 철근 정착길이 산정하는 방법과 예제를 풀어봤습니다. 인장 이형철근 정착길이를 구하는 방법은 두가지입니다. 첫번째는 기본정착길이에 보정계수를 곱하여 구하는 방법, 두번째는 정착길이 공식으로 구하는 방법입니다. 왜 두가지 방법으로 나눠졌는지, 이 두가지 방법 중 어떤 방법을 선택하면 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철근정착길이 예제 풀이 결과도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 목차 >

  1. 인장철근 정착길이 산정법
    • 정착길이 두가지 방법 비교 설명
    • 정착길이 공식 정리
  2. 인장철근정착길이 예제풀이
    • 정착길이 두 방법 모두 풀이

인장 철근 정착길이 산정법

첫번째, 기본정착길이에 보정계수를 곱하는 방법입니다. 설계기준에서 주어진 기본정착길이 공식에 표로 정리된 보정계수를 곱하는 방법입니다. 다시 말해, 기본정착길이 x 보정계수입니다. 기본정착길이 공식이 비교적 간단하고 보정계수도 표로 쉽게 정리되어, 설계자가 판단하기 쉽고 빠르게 산정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상세 공식 및 보정계수는 아래 링크로 참고 바랍니다.


두번째, 정착길이 공식으로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정착길이 공식이 첫번째 공식보다 다소 복잡합니다. 하지만, 공식의 일부는 가정으로 간단히 계산할 수 있고, 첫번째 공식보다 정착길이가 짧게 산정되는 것이 장점입니다. (아래 예제로 두가지 공식의 결과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음)

그렇다면, 인장 철근 정착길이 공식 두가지 중에 어떤 공식을 사용해야할까요? 둘 중에 큰 값을 적용해야만 할까요? 정답은 둘다 사용할 수 있다는 겁니다. 둘 중에 큰 값을 써야 구조물이 안정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거 아닐까요? 이 경우는 둘 중 작은 값을 사용해도 되고, 큰 값을 사용해도 된다고 규정에 나와있습니다.

두가지 공식 모두 사용할 수 있다고 규정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유는 다음과 같이 해석됩니다. ‘두번째 정착길이 공식을 사용하되, 첫번째 공식을 보조적인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렇게 말하는 이유는 첫번째 공식의 결과가 대체적으로 크게 나오기 때문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아래 예제 풀이 결과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인장 철근 정착길이 예제

인장을 받는 철근의 정착길이를 두가지 방법으로 풀어봤습니다. 위에서 말한 정착길이 곱하기 보정계수, 정착길이 공식 둘다 적용해봤는데요. 풀이 과정 및 결과를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인장 철근 정착길이

이상으로 인장 철근 정착길이를 구해봤습니다. 정착길이를 구하는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