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와시공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 배합강도, 호칭강도, 내구성기준강도, 품질기준강도 5가지

설계기준강도, 배합강도, 호칭강도, 내구성기준강도, 품질기준강도 5가지 정확한 구분이 필요하시죠? 건설현장에서 레미콘(Ready-mixed concrete)을 주문하거나 구조계산, 내구성 설계, 콘크리트 배합을 할 때 우리는 수많은 콘크리트 강도 용어를 접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 용어들이 비슷비슷하다 보니 자주 혼동하게 되죠. 설계기준압축강도? 배합강도? 호칭강도? 이번 글에서는 다음의 5가지 콘크리트 압축강도 용어를 정확히 정리해드립니다. 그리고 각 용어의 기호와 정의, 영어로, 기호 그리고 마지막엔 관계도 순서도로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목차

설계기준 압축강도

압축강도 fck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는 fck 로 표기합니다. 영어 줄임말은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압축강도 영어로

압축강도는 영어로 Characteristic strength of concrete이다. ck 기호로 cconcrete, kcharacteristic(특성값)

압축강도 정의

구조설계 시 기준이 되는 콘크리트 압축강도입니다. 일반적으로 28일 압축강도의 5% 프랙타일값을 의미합니다. 구조설계도면에 적히는 기준 강도입니다.

배합강도

배합강도 fcr

콘크리트 배합강도는 fcr 로 표기합니다. 영어 줄임말은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배합강도 영어로

배합강도 영어로 Mix design target strength라고 하고, 기호로 c는 concrete, r은 required 또는 ratio 의미합니다.

배합강도 정의

콘크리트를 배합할 때 목표로 하는 압축강도입니다. 시공 중 오차나 품질 편차를 감안하여, 설계기준강도보다 여유 있는 값을 사용합니다.

호칭강도

호칭강도 fcn

콘크리트 호칭강도는 fcn 로 표기합니다. 영어 줄임말은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호칭강도 영어로

호칭강도는 영어로 Nominal strength of concrete라고 하고, 기호로 cconcrete, nnominal(호칭) 의미합니다.

호칭강도 정의

레미콘 주문 시 사용되는 표기 강도입니다. 현장 조건(외기온도, 양생조건 등)을 반영하여 배합강도보다 높은 수치로 설정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시방서나 발주서에 쓰이는 강도 명칭입니다.

내구성기준강도

내구성기준 압축강도 fcd

콘크리트 내구성기준강도 fcd 로 표기합니다. 영어 줄임말은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내구성강도 영어로

내구성기준강도는 영어로 Design strength for durability라고 하고, 기호로 cconcrete, ddurability 또는 design의미합니다.

내구성기준강도 정의

콘크리트의 내구성 확보를 위한 최소 압축강도입니다. 노출환경 등급에 따라 달라지며, 설계기준강도보다 높은 경우도 있습니다. 예) 염해 환경, 동결융해 환경에서는 높은 내구성 기준이 적용됩니다.

품질기준강도

품질기준강도 fcq

콘크리트 품질기준강도 fcq 로 표기합니다. 영어 줄임말은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품질기준강도 영어로

품질기준강도는 영어로 Quality control strength라고 하고, 기호로 cconcrete, qquality를 의미합니다.

품질기준강도 정의

실제 품질관리를 위한 기준 압축강도입니다.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fcq= max[ fck, fcd ] 로 표기합니다.

즉, 설계기준압축강도와 내구성기준압축강도 중 큰 값이 됩니다. 품질시험의 기준으로 사용되므로 매우 중요한 수치입니다.

콘크리트 압축강도 5가지 정리

용어 기호 정의 요약
설계기준압축강도 구조설계 시 기준이 되는 콘크리트 강도
배합강도 배합 시 목표로 하는 콘크리트 강도
호칭강도 레미콘 발주 시 사용하는 표기 강도
내구성기준압축강도 내구성 확보를 위한 최소 압축강도
품질기준강도 로 결정되는 시험 기준 강도

콘크리트 강도 결정 프로세스

구분 설계자 사용자
(발주자)
생산자
콘크리트 강도
종류와 결정
하중 검토 → 구조 계산
→ fck결정
– fck, fcd
→ 둘 중 큰 값을 품질기준강도 fcq결정
→ 호칭강도 선택 및 결정
fcn(기온보정강도 검토 및 결정 포함)
– 주문된 호칭강도 반영
→ 표준편차 산출(ACI 방식 적용)
→ 배합강도 결정 fcr
→ 시방배합 결정
노출범주 및 등급 검토
→ 내구성 요구조건 검토
→ fcd 결정
sala-dent

Recent Posts

콘크리트 배합설계로 시멘트량, 골재량, 혼화제 3가지 구하기

콘크리트 배합설계 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하나씩 알려드리는 방법보다, 예제를 풀어서 보여드리는게 나을거 같은데요. 아래 설계조건,…

3개월 ago

서중콘크리트 양생방법, 기준, 시방서, 품질관리 5가지

서중콘크리트? 여름철 공사 현장에서 가장 자주 겪는 문제 중 하나는 콘크리트 품질 저하입니다. 여름철 외부기온이…

4개월 ago

콘크리트 양생기간, 거푸집 동바리 존치기간 5일?

콘크리트 양생기간은 최소로 얼마나 해야 할까요? 일주일? 그럼, 거푸집과 동바리는 언제 철거하면 될까요? 현장 실무자들이…

4개월 ago

암반의 불연속면, 일축압축강도, 투수계수 3가지 정리

암반의 불연속면은 암반이 이방성인지 등방성인지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 하중 방향에 따라 강도와 변형 특성에 큰…

4개월 ago

흙의 이방성이란? 등방성, 비등방성, 침투유량 3가지 개념

흙의 이방성이란 무엇인가요? 초기이방성과 유도이방성의 개념부터 전단강도, 투수계수, 침투유량, 토압 등 흙의 방향성에 따른 지반…

4개월 ago

함수비, 평형함수비, 수분특성곡선 3가지 개념 정리

함수비, 평형함수비, 수분특성곡선은 지반공학이나 토질역학을 공부하거나 실무에서 다루다 보면 반드시 접하게 되는 개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4개월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