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와시공

콘크리트 배합설계로 시멘트량, 골재량, 혼화제 3가지 구하기

콘크리트 배합설계 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하나씩 알려드리는 방법보다, 예제를 풀어서 보여드리는게 나을거 같은데요. 아래 설계조건, 재료시험값을 통해 배합강도를 산정하는 방법, 배합 시 필요한 결합재, 시멘트량, 골재량, 혼화제 산정하는 방법을 예제로 풀이해봤습니다. 예제 풀이 중간에 콘크리트 강도 관련 글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목차

콘크리트 배합설계법 (예제)

1. 설계조건

(1) 콘크리트 재료조건

콘크리트 배합설계 시, 목표로 하는 콘크리트 강도 및 조건은 아래와 같다.

  • 압축강도 fck = 24 MPa
  • 사용 골재 : 최대 치수 25mm 골재 사용
  • 공기량 : 4.5% ± 0.5%
  • 슬럼프 : 120~150mm
  • AE제 사용 (시멘트 질량의 약 0.03%)

(2) 재료시험 결과

재료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고 가정한다.

  • 시멘트 밀도 : 3.15 g/cm³
  • 잔골재 표건밀도 : 2.60 g/cm³
  • 굵은골재 표건밀도 : 2.65 g/cm³
  • 잔골재의 조밀율 : 2.86 (5mm 체 잔유분 제거 후 시험)

2. 배합강도 선정

배합강도 fcr ​는 다음과 같이 계산하여, 최종 배합강도를 산정하였다

여기서 S는 표준편차 3.6 MPa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또는 다른 공식으로 계산하여

따라서 배합강도 fcr는 두 값 중 큰 값인 28.9 MPa로 설정한다.

3. 콘크리트 배합설계 3가지 선정

(1) 물-결합재비의 선정

물-결합재비는 실험을 통해 얻은 관계식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관계식 :

여기서,
f28 = 28.9MPa를 대입하여 B/W(물-결합재비)를 구하면

따라서

안전 측면에서 W/B = 0.50 로 선정한다.

(2) 잔골재율 및 단위수량 결정

목표 슬럼프 및 공기량 조건을 고려하여 기준으로 잔골재율(S/a)을 선정하였다.

기본 잔골재율 : 42%

보정 후 잔골재율 :

단위수량(물의 양):

(3) 단위용적 계산

단위 결합재량 :

시멘트 절대 용적 :

공기량 :

골재 절대용적 :

잔골재 절대용적 :

단위 잔골재량 :

굵은골재 절대용적 :

단위 굵은골재량 :

단위 혼화제(AE)량 :

콘크리트 강도 및 설계조건에 부합하는 배합설계를 해봤습니다. 배합설계 결과로는 단위결합재량, 시멘트량, 공기량, 골재 및 잔골재 용적, 혼화제량이 산출할 수 있었습니다. 참고하시고 도움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sala-dent

Recent Posts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 배합강도, 호칭강도, 내구성기준강도, 품질기준강도 5가지

설계기준강도, 배합강도, 호칭강도, 내구성기준강도, 품질기준강도 5가지 정확한 구분이 필요하시죠? 건설현장에서 레미콘(Ready-mixed concrete)을 주문하거나 구조계산, 내구성 설계, 콘크리트 배합을…

3개월 ago

서중콘크리트 양생방법, 기준, 시방서, 품질관리 5가지

서중콘크리트? 여름철 공사 현장에서 가장 자주 겪는 문제 중 하나는 콘크리트 품질 저하입니다. 여름철 외부기온이…

4개월 ago

콘크리트 양생기간, 거푸집 동바리 존치기간 5일?

콘크리트 양생기간은 최소로 얼마나 해야 할까요? 일주일? 그럼, 거푸집과 동바리는 언제 철거하면 될까요? 현장 실무자들이…

4개월 ago

암반의 불연속면, 일축압축강도, 투수계수 3가지 정리

암반의 불연속면은 암반이 이방성인지 등방성인지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 하중 방향에 따라 강도와 변형 특성에 큰…

4개월 ago

흙의 이방성이란? 등방성, 비등방성, 침투유량 3가지 개념

흙의 이방성이란 무엇인가요? 초기이방성과 유도이방성의 개념부터 전단강도, 투수계수, 침투유량, 토압 등 흙의 방향성에 따른 지반…

4개월 ago

함수비, 평형함수비, 수분특성곡선 3가지 개념 정리

함수비, 평형함수비, 수분특성곡선은 지반공학이나 토질역학을 공부하거나 실무에서 다루다 보면 반드시 접하게 되는 개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4개월 ago